728x90
SMALL
- 이번 년도 상반기에 LG U+ Why Not SW Camp, 그중에서도 클라우드 기반 빅데이터 분석 및 서비스 개발 과정 5기에 지원하고 합격하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해당 교육 과정을 따라가며 배운 내용을 정리하고 간단히 회고하는 글들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 그날그날 배운 내용들을 노션에 기록해 두고는 있지만, 매일같이 블로그에 옮기기가 쉽지 않을 것 같아 추후에는 주차별로 정리하여 회고를 만들어둘까 합니다.
- 이번 주는 클라우드 기초 지식들과 AWS 내 서비스 활용 방법을 배울 예정이고, 오늘은 그 중에서도 클라우드 기초, 그리고 AWS의 주요 서비스 중 EC2에 대한 실습까지 진행 완료하였습니다.
☁️ 클라우드
-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DB의 메모리가 커짐에 따라 클라우드에 저장할 필요가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 Naver나 Google 같은 검색 서비스에서 검색 결과가 바로 나오는 이유는 자체적으로 저장된 페이지들을 바로 불러오기 때문입니다.
- Google의 검색 결과는 미국 본사에서부터 가져오게 되는데, 이때 데이터의 손실률을 막기 위해 여러 지역에 데이터 센터를 두거나 및 AWS 서비스를 사용하게 됩니다.
- 현재는 AWS, GCP(Google Cloud Platform), MS Azure를 주로 사용합니다.
✨ 특징
- 인터넷만 있다면 Data의 저장과 접근이 언제, 어디서든지 가능합니다.
- 또한, 바로 사용이 가능하고,
- 사용한 만큼만 과금되는 전산 기반 시설입니다.
✨ 유형
💡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
- IaaS(Infra): 서비스형 인프라로, 개발사에 제공되는 물리적 자원을 가상화한 유형입니다.
- PaaS(Platform):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모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리소스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유형입니다.
- SaaS(Software): 제공업체에서 전체 구성요소의 모든 업데이트, 버그 수정, 기타 일반 유지보수를 처리하는 유형입니다.
💡 클라우드 배포 유형
- Private Cloud: 사설 클라우드로, 하나의 기업이나 사용자만을 위해 운영되는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 Public Cloud: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고 나 말고도 여럿이 클라우드 공급자의 고객으로서 임대한 IT 자원을 사용하는 유형입니다.
✨ 사용 이유
- 필요할 때 언제든지 곧바로 사용 할 수 있으며, 사용한 만큼만 지불하면 되기 때문에 초기 구축 비용이 없습니다. (클라우드의 특징)
- 상황에 따라서 용량을 유연하게 조절(오토 스케일링)할 수 있어서 용량의 한계도 극복할 수 있습니다.
- 마우스 클릭 몇 번 만으로 클라우드를 사용할 수 있어서 적은 노력으로도 가능합니다.
☁️ AWS
- AWS는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고객 지향 서비스 등을 계속해서 출시하고 있습니다.
- 또한, 전 세계에 최대 규모 인프라 보유하고 있고, 여러 리전(AWS가 실제 운영되는 지역)의 가용 영역(AZ: Availability Zone; 리전 내 위치한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들)에 엣지 로케이션(CloudFront와 같은 엣지 서비스의 캐시 서버가 운영되는 데이터 센터)과 같은 센터들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 그리고 수많은 글로벌 파트너와 마켓플레이스 제품을 현재 제공 중에 있습니다.
📌 EC2(Elastic Compute Cloud)
✨ 특징
- EC2는 컴퓨팅 자원을 클라우드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 Virtual Machine을 인터넷으로 제공해주는 서비스로, 가상 서버를 제공해주는 서비스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컴퓨팅 리소스를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 다시 말해, 인스턴스가 생성된 이후에도 성능을 올리거나 내릴 수 있고,
- 쉽게 컴퓨팅 용량을 확장하거나 축소도 가능합니다.
- 용도에 따른 다양한 인스턴스 타입을 제공합니다.
- 여기서 인스턴스란, EC2의 수량을 뜻하는 단위로 보시면 됩니다.
- EC2는 인스턴스 한 개, 두 개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 사용한 만큼만 과금됩니다.
- 인스턴스는 반드시 해제시켜주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자기도 모르는 새 돈이 계속 새어나갈 수 있습니다...
- 인스턴스를 삭제해도 바로 삭제는 되지 않고 시간이 지나야 종료 상태로 변환됩니다.
✨ 지원하는 인스턴스 타입
- M패밀리: 컴퓨팅, 메모리, 네트워크 리소스를 균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인스턴스 타입입니다.
- C패밀리: 최고 성능의 프로세서를 제공하는 타입입니다.
- R패밀리: 메모리 용량이 많이 필요한 APP을 위한 인스턴스 타입입니다.
- T패밀리: 성능을 순간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인스턴스 타입입니다. (프리티어는 요걸 사용하시면 됩니다!)
- G패밀리 & P패밀리: GPU 자원이 많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인스턴스 타입입니다. (ML 관련 서비스를 위한 타입)
- I패밀리: 높은 I/O를 제공하는 인스턴스 타입입니다.
- D패밀리: 높은 디스크 처리량을 위한 인스턴스 타입입니다.
💰 과금 옵션
- On-Demand
- 약정없이 쓴 만큼만 지불하는 요금제입니다.
- 신규 서비스의 경우에는 초기에 트래픽이 어느 정도 나올지 예측이 힘들기에 이 요금제를 사용하는 편입니다.
- Reserved Instance
- RI라고도 불리며, 인스턴스를 예약해서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 적어도 인스턴스를 1년 이상 유지할 계획이라면 무조건 RI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합니다.
- Spot Instance
- 남는 자원을 경매 방식으로 입찰받아 아주 싼 값에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요금제입니다.
- 할인율이 높지만, 낙찰받지 못하면 사용이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Elastic IP
-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해 고안된 정적 IPv4 주소입니다.
- AWS에서 탄력적이라는 말은 여기저기 붙였다 뗐다 할 수 있는 성질을 뜻합니다.
- EC2와 반드시 연결되어야하며, EC2를 해제했다면, IP도 할당 취소해야 함
- 각 계정별로 할당받을 수 있는 Elastic IP 개수는 고정
✨ 작동 방식
- Elastic IP를 할당 후 EC2 인스턴스에 연결
- 클라이언트는 이 Elastic IP를 통해 EC2 인스턴스에 접속
- 만약 해당 EC2 인스턴스에 장애가 발생하면 서버가 정상적으로 작동 불가
- 이런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먼저 EC2 인스턴스를 새롭게 하나 생성
- 이 새로운 EC2에 IP를 연결함으로 서버 정상 작동 가능
🤔 1일차 회고
- 오늘은 커리큘럼에 대한 기본적인 개요와 데이터 관련 직무에서 주요 직업들이 하는 일, 그리고 클라우드, AWS의 기본적인 부분까지 정말 많은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사실 AWS에 관한 대략적인 내용들은 익히 들어와서 알고 있었으나, 이론적인 부분들이 많았습니다.
- 오늘 수업에서는 AWS과 EC2 서비스에 대한 실습도 함께 진행하였고, 더해서 이번 주 내로 주요한 AWS 서비스는 모두 다뤄볼 수 있을 것 같아 기대가 됩니다. 개념 하나하나 곱씹어 설명해주신 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 제 손에 많이 익혀두어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그 이후 작업을 하는 것에 있어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 않게 하는 것이 저의 1주차 목표입니다.
- 그리고 제가 배포했던 서비스들은 cloudtype이나 Cloudflare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했었는데, 이를 AWS로 다시 배포해보면서 이 과정들을 다시금 복습하면 조금 더 많은 AWS 서비스를 사용해 볼 수 있을 거란 생각도 듭니다.
- 내일은 보안 그룹, EBS, ELB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728x90
LIST
'부트캠프 > LG U+'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함수와 모듈 그리고 클래스 (15) | 2025.02.04 |
---|---|
🤔 Python Programming Basics (w. Spyder) (2) | 2025.02.03 |
🤔 Jupyter, folium 그리고 tkinter (2) | 2025.01.24 |
🤔 Python과 데이터 분석의 기초 (4) | 2025.01.23 |
🤔 보안 그룹과 EBS 그리고 ELB (10) |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