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 이번에는 코딩 테스트에서 중요한 유형인 'Implementation(구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현은 주어진 문제를 코드로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과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구현은 코딩 테스트에서 자주 출제되는 유형 중 하나이며, 정확하고 효율적인 코드 작성 능력을 요구합니다.
구현 문제 접근법
- 구현은 주어진 문제의 요구사항을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문제의 조건과 제약사항을 잘 이해하고, 프로그래밍 언어와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알고리즘을 작성합니다. 주어진 입력에 따라 출력을 생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산과 조작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 문제 이해와 제약 사항 파악: 주어진 문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입력 조건과 제약 사항을 파악해야 합니다.
- 변수와 데이터 타입 선택: 주어진 문제에 맞게 필요한 변수와 데이터 타입을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숫자 계산이 필요한 경우 int나 float 등의 숫자 데이터 타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함수 설계: 주어진 조건과 목표에 맞추어 필요한 함수들을 설계합니다. 각 함수가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 명확히 정의하고 이름 짓기도 중요합니다.
- 조건 처리와 연산: 주어진 조건들에 따라 if문이나 switch문 등으로 조건 처리를 하며, 필요한 연산과 로직들을 작성합니다.
- 반복문 활용: 반복적인 작업이 필요한 경우 for문이나 while문 등 반복문을 활용하여 코드를 간결화할 수 있습니다.
- 예외 처리: 예외 상황에 대비하여 예외 처리를 해야 합니다. 입력값의 범위를 확인하거나, 0으로 나누는 등의 예외 상황에 대한 처리를 구현해야 합니다.
- 시간 복잡도 분석과 최적화: 구현된 코드의 시간 복잡도를 분석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개선합니다. 반복문 내에서 중복 계산을 피하거나, 불필요한 연산을 줄이는 등의 최적화 기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테스트 케이스 작성: 구현한 코드가 정확히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여 검증합니다. 주어진 예제뿐만 아니라 경계값, 잘못된 입력 등 다양한 상황에 대해 테스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위와 같은 접근법으로 구현 유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예시로 관련된 몇 가지 접근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문자열 처리
- 문자열 처리는 코딩 테스트에서 자주 출제되는 구현 유형 중 하나입니다. 문자열 관련 함수와 메서드 등을 활용하여 원하는 결과물을 얻기 위하여 문자열을 처리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 문자열 분리: 문자열을 공백이나 특정 구분자를 기준으로 분리하여 리스트로 저장합니다. split() 함수를 사용하면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 문자열 조작: 문자열의 특정 위치에 접근하거나, 일부분을 추출하거나, 변경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인덱싱과 슬라이싱 연산을 활용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습니다.
- 문자열 검색: 특정 패턴이나 문자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검색 작업을 수행합니다. find(), index() 등의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문자열 치환: 특정 패턴이나 문자열을 다른 값으로 치환하여 변경합니다. replace() 함수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 문자열 결합: 여러 개의 문자열을 하나로 결합하는 작업입니다. join() 함수를 사용하여 리스트 요소들을 하나의 문자열로 합칠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
- 시뮬레이션은 주어진 상황에 따라 단계별로 동작하는 과정을 모사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 상태 초기화: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초기 상태(변수, 배열 등)를 설정합니다.
- 시간 단위 반복: 주어진 시간 단위마다 상태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반복적으로 모사합니다.
- 조건 확인 및 처리: 각각의 시간 단위에서 주어진 조건들(예: 이동 가능 여부, 충돌 체크 등)에 따라 상태 변화 및 처리 작업을 진행합니다.
그 외 유형
- 구현 유형은 문제마다 다양한 형태와 요구사항으로 출제됩니다. 예시로는 그래프 탐색, 정렬 알고리즘 구현, 시뮬레이션 게임 등 다양한 문제 유형들도 포함됩니다.
- 코딩 테스트에서 구현 유형은 코드 작성 능력과 디버깅 능력에 대한 평가 요소입니다. 문제 파악과 알고리즘 설계 후 코드 작성과 디버깅 과정에서 문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주어진 조건과 제약사항을 잘 파악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자료구조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야 합니다.
1550번: 16진수
첫째 줄에 16진수 수가 주어진다. 이 수의 최대 길이는 6글자이다. 16진수 수는 0~9와 A~F로 이루어져 있고, A~F는 10~15를 뜻한다. 또, 이 수는 음이 아닌 정수이다.
www.acmicpc.net
문제
- 16진수 수를 입력받아서 10진수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해결 방법
- 이 문제는 기본적인 진법 변환 문제입니다. 주어진 16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파이썬의 내장 함수 int()를 사용하여 진법 변환을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print(int(input(),16))
- 입력으로 주어지는 16진수 문자열을 10진수 정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간단한 구현문제입니다. 파이썬에서는 int() 함수에 진법인자를 넣어주면 해당 진법의 수를 10진수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2740번: 행렬 곱셈
첫째 줄에 행렬 A의 크기 N 과 M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행렬 A의 원소 M개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그 다음 줄에는 행렬 B의 크기 M과 K가 주어진다. 이어서 M개의 줄에 행렬 B의 원소 K개
www.acmicpc.net
문제
- 크기가 N×M인 행렬 A와 크기가 M×K인 행렬 B가 주어졌을 때, 두 행렬을 곱한 결과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해결 방법
- 행렬 곱셈의 결과는 i행과 j열의 원소의 합이며, 이 합은 A의 i행과 B의 j열을 각각 같은 위치에 있는 원소끼리 곱한 값을 더한 것과 같습니다. 이 문제의 경우 N×M, M×K 행렬을 주어진 규칙에 맞게 곱셈 연산을 구현하면 됩니다.
# 행렬 입력 함수
def input_matrix(size):
matrix = []
for _ in range(size[0]):
matrix.append(list(map(int, input().split())))
return matrix
# 행렬 곱셈 함수
def multiply_matrices(A, B, N, M, K):
result = [[0] * K for _ in range(N)]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K):
for k in range(M):
result[i][j] += A[i][k] * B[k][j]
return result
# 입력
N, M = map(int, input().split())
A = input_matrix((N, M))
M, K = map(int, input().split())
B = input_matrix((M, K))
# 행렬 곱 계산 및 출력
result = multiply_matrices(A, B, N, M, K)
for row in result:
print(*row)
- 행렬 곱셈 문제의 경우 구현 관련 지식은 중첩된 반복문을 사용하여 행렬의 원소에 접근하고, 행렬 곱셈의 규칙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는 것이 주요 핵심입니다.
- 구현 문제는 주어진 문제의 요구사항을 코드로 옮기는 능력을 요구하는 문제 유형입니다. 따라서 문제를 잘 이해하고,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 특히나 구현 문제는 다양한 주제와 형태로 출제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유연한 사고와 폭넓은 지식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문자열 처리, 시뮬레이션, 완전 탐색 등 다양한 알고리즘이 구현 문제에서 활용됩니다.
- 또한 효율적인 코드 작성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같은 로직이라도 코드의 효율성에 따라 실행 시간이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최적화된 코드를 작성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좋습니다.
- 오늘도 여러분의 성공적인 코딩 생활을 응원합니다! 다음 시간에는 다른 유형의 문제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LIST
'알고리즘 > 코딩테스트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꼭 알아야하는 코딩 테스트 유형: 6) #Greedy (1) | 2023.08.24 |
---|---|
꼭 알아야하는 코딩 테스트 유형: 5) #String (1) | 2023.08.23 |
꼭 알아야하는 코딩 테스트 유형: 4) #Graphs (0) | 2023.08.23 |
꼭 알아야하는 코딩 테스트 유형: 3) #Dynamic_Programming (0) | 2023.08.23 |
꼭 알아야하는 코딩 테스트 유형: 1) #Math (0) | 2023.08.23 |